-
병리학 관점의 혈관 질환카테고리 없음 2023. 6. 12. 22:35반응형
혈관은 동맥, 정맥 및 림프관으로 나뉘며 이들은 위치와 기능에 따라 구조의 차이가 있다. 동맥은 크기와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대동맥(탄력성 동맥), 중동맥(근육성 동맥) 및 소동맥으로 구분된다. 동맥은 내막, 중막 및 외막으로 구성되며 혈과의 크기에 따라 독특한 형태의 질환이 생긴다. 예를 들어 죽상경화증은 주로 탄력성 및 근육성 동맥에서 발생하고, 고혈압증은 소동맥과 세동맥에 기능과 구조의 변화를 초래한다. 정맥은 일반적으로 벽이 얇고 내강이 비교적 넓으며, 동맥에서와 같이 세 층으로 잘 구분되지 않고 판막이 존재한다. 림프관은 매우 얇은 벽을 가진 구조로 내피세포로 피복되어 있다. 혈관 내피세포는 반투과성 막의 역할, 항응고제 및 항혈전 물질의 분비, 혈압 조절, 염증과 면역 반응의 조절, 세포외기질의 생산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내피세포는 혈관의 내강을 덮고 있으면서 혈액과 내막 하 조직 사이에서 항혈전 층을 이루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으면 필연적으로 혈전이 생기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동맥경화증과 고혈압증의 원인이 된다. 혈관의 병리학적 변화로 생길 수 있는 결과로는 첫째, 혈관 내강이 좁아져서 주위 조직의 허혈이나 경색을 일으키며 둘째, 혈관 내막의 손상으로 인한 혈전증과 혈관 벽의 약화로 인한 혈관의 확장과 파열 등이 있다.
1. 동맥경화증 : 동맥벽이 두꺼워져서 혈관 벽의 탄력성이 소실되는 질환으로 세 가지 형태가 있다.
1) 죽상 경화증
대동맥과 그 주요 분지, 심장동맥 및 대뇌의 동맥을 침범하여 심장근육 경색, 대 뇌경색 및 대동맥 동맥류를 일으킨다. 때로는 동맥혈류의 감소로 인한 팔다리의 괴저, 장관 막 혈관 폐쇄로 인한 장 경색증, 심인성 급사, 만성 허혈심장질환, 뇌혈관 장애 등을 일으킨다. 조직학적으로 중간 크기의 근육성 동맥과 탄력성 동맥의 질환으로 혈관내막에 지질이 침착되어 콜레스테롤 결정이 함유된 지질의 핵과 이를 덮고 있는 섬유성 피막으로 구성된 죽종이나 섬유 지방성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관 벽에는 결합조직이 증가하고 석회화가 일어나 경화된다.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및 당뇨병 등이 있다.
2) 중막 석회성 경화증
근육형의 중등도 크기 내지 소동맥의 중막에 미만성 윤상 석회화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침범하는 혈관은 넙다리 동맥, 목동맥, 노동맥, 자동맥 등이며 주로 50세 이후에 발생한다. 형태학적으로 혈관 벽 내에 윤상 혹은 판상 석회화가 관찰된다.
3) 세동맥 경화증
주로 고혈압과 관련이 있으며 세동맥 벽의 광범위 비후와 내강 협소로 인한 조직의 허혈이 관찰된다.
2. 혈관염 : 혈관염은 국소적으로 염증 또는 외상 등에 의한 직접적 손상이나 전신적인 원인에 의해 혈관에 다발성 괴사나 혈전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발생 기전에 따라 감염병원균과 면역질환에 의한 혈관염으로 나뉜다. 또 주로 침범하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대동맥, 중동맥, 소동맥을 침범하는 혈관염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3. 동맥류 : 혈관이 국소적으로 비정상적인 확장을 보이는 것을 말하며 신체의 동맥이나 정맥 어디든지 생길 수 있으나 흔히 대동맥에서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증과 낭성 중막 변성에 의한 동맥류가 많으며 매독과 외상, 결절다발동맥염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육안적 모양에 따라 딸기동맥류, 소낭 형 동맥류, 방추형 동맥류, 진균동맥류로 나눈다.
4. 정맥과 림프관 : 정맥질환은 대다수가 혈관 내 혈전증과 잠재성 전색증을 일으키기 쉽고 이러한 것이 전신 정맥에 흔히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잠재성 후유증인 심한 폐색전증과 폐색 경증이 발생한다. 그리고 혈관 내 혈전증, 정맥의 협소 또는 비정상적인 확장 등에 기인한 정맥관 기능 상실은 모두 정맥 울혈의 원인이 된다.
5. 혈관 종양
1) 양성 종양
① 혈관종 : 매우 흔한 종양으로 소아에서 호발한다. 종류로는 모세혈관종, 딸기 형 모세혈관종, 해면혈관종, 화농육아종 등이 있다.
② 사구 종양 : 사구 종양은 손톱이나 발톱 아래에 호발하며 매우 아픈 결절을 형성한다.
2) 중간 등급 종양
① 혈관내피종 : 혈관내피종은 혈관내피세포에서 발생하고 혈관종과 같은 분포양상을 보인다. 혈관육종과의 구별이 중요하다.
② 카포시 육종 : 카포시 육종은 AIDS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3) 악성 종양
① 혈관육종 : 혈관종양 중 가장 흔한 악성 종양이며 간에서 생기는 혈관육종은 염화폴리비닐과 관계있다. 다양한 모양의 종양세포가 혈관구조 내에서 증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② 혈관주위세포종 : 혈관주위세포종은 드문 종양으로 사지에서 흔히 발생한다.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