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위염에 대하여
    카테고리 없음 2023. 10. 11. 13:29
    반응형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된다.

    여성 <남성, 50-6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급성위염은 무엇일까?

     

    급성 위염

    급성 위염이란 위 점막의 급성 염증성 변화이다. 위산 분비의 증가, 위 점막의 혈류가 감소하면서 위 점막에 부착된 점액층이 파괴되고 상피세포가 직접적인 손상을 받는 과정에 의해 발생한다.

    급성 위염은 위점막을 광범위하게 손상하지 않는 한 질병기간이 짧다.

     

     

    급성위염의 원인은 무엇일까?

    약물에 인한 원인

    아스피린, 코티코스테로이드, 비스테로이드성항염제, 항암제

     

    음식에 인한 원인

    알코올, 양념이 많은 음식, 자극성 음식(겨자, 고추, 후추)

     

    미생물에 의한 원인

    Helicobacter pylori, salmonella, 포도상구균

     

    환경적 요인

    방사선, 흡연

     

    병태생리적 원인

    화상, 심한 식도열공, 생리적 스트레스, 담즙과 췌장액의 역류, 신부전, 패혈증, 쇼크

     

    기타의 원인

    내시경검사, 비위관 흡인, 심리적 스트레스

     

    급성위염의 병태 생리는 어떨까?

     

    위의 점막층은 위산의 작용으로부터 위벽을 보호한다.

    위점막 방어벽은prostagland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상을 입으면 위염이 생긴다.

    염산이 위점막에 접촉, 부종과 출혈이 궤양으로 이행되기도 한다.

     

     

    급성위염의 증상과 징후는 무엇일까?

     

    위장출혈만이 유일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복부불편감, 복부압통, 트림, 심한 오심과 구토 및 토혈이 있다.

    오염된 음식물에 의한 경우에는 설사를 하기도 한다.

     

     

    만성위염은 무엇일까?

    위점막의 만성적인 염증성질환을 만성염증이라고 한다.

    표재성위염, 위축성위염, 비후성위염으로 나뉜다.

     

    표재성위염: 위점막이 충혈디고 부어있으며 출혈과 같은 작은 미란들이 있다.

    위축성위염: 위의 모든층에 생기는 것으로 흔히 위궤양과 위암으로 진전하고 악성빈혈이 반드시 동반된다.

    비후성위염: 결절성점막이 생기며 불규칙하게 두꺼워지고 결절성추벽을 이루게 된다.

     

     

    위염치료는 어떻게 할까?

     

    내과적 치료

    원인을 제거하고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금식을 하며, 약을 복용한다.

    환자가 먹을 수 있게 되면 저섬유성 음식을 적은양으로 자주 규칙적으로 줄 수 있다. 양념이 적고 카페인이 없는 음료를 제공, 과식을 피해야 한다.

     

     

    위염시 복용하는 약의 종류

     

     

     

     

     

     

    외과적 치료

    부분적인 위절제술, 유문성형술, 미주신경절단술, 전체 위절제술 등이 있으며, 심한 미란성 위염일 때 시행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